본문 바로가기
소소한 인사이트 📊 (Knowledge & Insights)/클래식 아카이브 (Classic Archive)

클래식 작품번호 완전 정리|Op.·No.·K.·D. 뜻과 읽는 법 한눈에

by 소소한아카이브_Re:U 2025. 3. 31.
728x90
반응형

클래식 음악 작품번호, Op., No., K., D. 각각 무슨 뜻일까요? 헷갈리기 쉬운 약어들의 의미와 읽는 법을 입문자 눈높이에서 정리한 콘텐츠입니다.

 

📂 소소한 인사이트 > 클래식 아카이브 > 입문 가이드

 

클래식 음악 작품번호(Op., No., K., D.)의 의미와 읽는 법을 정리한 입문자용 콘텐츠입니다. 약어의 유래와 작곡가별 표기 차이까지 이해하기 쉽게 설명합니다.
클래식 입문자를 위한 곡 제목 해설|Op.·No.·K.·D. 쉽게 이해하기

 

 

🎶 클래식 곡 제목, 왜 이렇게 복잡할까?

 

클래식 곡을 검색해 보면 이런 제목 많이 봤을 거다.

  • Beethoven – Piano Sonata No. 14 in C♯ minor, Op. 27 No. 2 “Moonlight”
  • Mozart – Symphony No. 41 in C major, K. 551 “Jupiter”
  • Schubert – Piano Sonata in B♭ Major, D. 960

도대체 Op., No., K., D.는 뭘 의미하는 걸까?
지금부터 클래식 제목에 담긴 비밀을 쉽게 풀어보자.


📘 작품번호(Opus, Op.)란?

 

Op. 또는 Opus는 라틴어로 ‘작품’을 뜻해.
주로 작곡가가 출판된 순서에 따라 번호를 매긴 것이다.

예: Beethoven – Piano Sonata No. 8, Op. 13
→ 베토벤이 출판한 13번째 작품

 

📝 참고

  • 같은 작품 번호에도 **No.**로 세부 번호가 붙는 경우 있음 (예: Op. 27 No. 2)
  • 초기작은 Op. 번호가 없는 경우도 있어서 ‘WoO’(작품번호 없음)으로 표기된다.

🧾 No.는 무엇일까?

 

**No.**는 Number, 즉 ‘번호’.
보통 Op. 내에서 작품 순서를 구분할 때 쓴다.

예: Op. 27 No. 1과 Op. 27 No. 2는 서로 다른 두 곡이라는 의미

 

👉 쉽게 말해 Op.는 ‘작품 묶음’ / No.는 그 안의 개별 곡 번호로 이해하면 된다.


🎼 K. 번호: 모차르트의 작품 정리

 

모차르트는 생전에 작품 번호를 체계적으로 남기지 않았다.
그래서 음악학자 **쾨헬(Köchel)**이 모차르트 작품을 정리한 게 바로 K. 번호다.

예: Mozart – Symphony No. 41 in C major, K. 551 "Jupiter"

 

💡 K. 번호는 작곡 순서 기준. 출판 순서 아님!


🎻 D. 번호: 슈베르트의 작품 정리

 

슈베르트도 같은 문제를 안고 있어서
음악학자 **도이치(Deutsch)**가 정리했고, 그 번호가 D. 번호다.

예: Schubert – Piano Sonata in B♭ Major, D. 960

 

✅ D는 정리자의 이름 ‘Deutsch’에서 따온 것임.


📚 클래식 작품번호 표기 설명 표

🎵 이 표기들은 보통 연구자들이 작곡가의 작품을 연대순 또는 주제별로 정리한 코드다.

약자 의미 작곡가
Op. Opus / 작품 번호 (작곡가가 출판 순서로 부여) 베토벤, 쇼팽 등
No. Number / 작품 묶음 내 개별 곡 번호 전 작곡가 공통 사용
K. 쾨헬(Köchel) 번호 / 모차르트 작품 목록 모차르트
D. 도이치(Deutsch) 번호 / 슈베르트 작품 목록 슈베르트
BWV Bach-Werke-Verzeichnis / 바흐 작품 목록 바흐
Hob. Hoboken / 하이든 작품 목록 하이든
RV Ryom Verzeichnis / 비발디 작품 목록 비발디
S. Searle / 리스트 작품 목록 리스트
WoO Werke ohne Opuszahl / 작품번호가 없는 작품 베토벤 외 일부 작곡가

🧠 정리하며: 클래식 곡 제목, 이렇게 보면 쉬워져!

  • Op. → 작곡가가 출판한 순서대로 붙인 ‘작품 번호’
  • No. → 그 안의 개별 곡 순번
  • K., D., BWV, Hob. → 음악학자들이 정리한 ‘목록 번호’

📌 클래식 제목은 단순해 보여도 작품 순서, 스타일, 시대 배경까지 담고 있다.
이해하고 읽으면 훨씬 재밌고, 감상할 때도 깊이가 더해질 거라 믿는다. 🎧

 

 

📎 함께 읽으면 좋은 글  

👇  [클래식 입문 가이드] 클래식 음악의 세계 🎼|장르·시대별 특징부터 감상법까지 총정리 🎼

 

[클래식 입문 가이드] 클래식 음악의 세계 🎼|장르·시대별 특징부터 감상법까지 총정리

📂 분류: [클래식 입문 가이드] | 카테고리: [소소한 인사이트 > 클래식 아카이브 > 클래식 입문 가이드] | 주제: 클래식 음악의 장르, 시대, 감상법 총정리 [클래식 입문 가이

sosohan-archive.tistory.com

 

글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😊
공감(❤️) 버튼 👇 은 로그인 없이도 가능합니다. 🫶

 

728x90
반응형